하비 풀리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비 풀리엄은 미국의 야구 선수로, 1986년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입단하여 메이저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 한국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다. 메이저 리그에서는 캔자스시티 로열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콜로라도 로키스에서 뛰었으며, 일본에서는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활약했다. 특히 1998년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 극적인 동점 홈런을 기록하여 주목받았다. 2000년에는 SK 와이번스에 입단하여 한국 프로 야구에서도 선수 생활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로라도 로키스 선수 - 호세 카페얀
호세 카페얀은 미국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으며,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15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콜로라도 로키스 선수 - 김병현
김병현은 1999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2001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재는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캔자스시티 로열스 선수 - 로만 콜론
로만 콜론은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으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MLB와 KIA 타이거즈 등 여러 팀에서 활동한 전 야구 선수이다. - 캔자스시티 로열스 선수 - 앤디 밴 헤켄
앤디 밴 헤켄은 미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한국, 대만 프로야구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넥센 히어로즈에서 20승을 기록하며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고, 은퇴 후에는 투구 코치로 활동한다. - SK 와이번스 선수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SK 와이번스 선수 - 유재웅
유재웅은 두산 베어스와 SK 와이번스에서 외야수로 활동했던 전 KBO 리그 선수로, 두산에서 유망주로 주목받았으나 SK 이적 후 은퇴했으며 현재는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하비 풀리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비 풀리엄 |
원어 이름 | Harvey Jerome Pulliam (영어) |
출생일 | 1967년 10월 20일 |
출생지 | 미국캘리포니아주샌프란시스코 |
포지션 | 외야수 |
타석/투구 | 우타/우투 |
선수 경력 | |
메이저 리그 (MLB) | 캔자스시티 로열스 (1991-1993) 콜로라도 로키스 (1995-1997) |
일본 프로 야구 (NPB) |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8-1999) |
한국 프로 야구 (KBO) | SK 와이번스 (2000) |
기타 | 타바스코 캐틀멘(2001) |
MLB 데뷔 | |
데뷔일 | 1991년 8월 10일 |
데뷔팀 | 캔자스시티 로열스 |
최종 경기일 | 1997년 9월 28일 |
최종 팀 | 콜로라도 로키스 |
NPB 데뷔 | |
데뷔일 | 1998년 4월 4일 |
데뷔팀 | 오릭스 블루웨이브 |
최종 경기일 | 1999년 9월 29일 |
최종 팀 | 오릭스 블루웨이브 |
KBO 데뷔 | |
데뷔 연도 | 2000년 |
MLB 성적 | |
타율 | .262 |
홈런 | 8 |
타점 | 22 |
NPB 성적 | |
타율 | .282 |
홈런 | 38 |
타점 | 147 |
KBO 성적 | |
타율 | .267 |
홈런 | 16 |
타점 | 55 |
2. 경력
하비 풀리엄은 1986년 MLB 드래프트 3라운드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입단하여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한국 프로 야구, 멕시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1]
연도 | 팀 | 리그 |
---|---|---|
1986년 ~ 1993년 | 캔자스시티 로열스 | 메이저 리그 |
1994년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메이저 리그 |
1995년 | 콜로라도 로키스 | 메이저 리그 |
1998년 ~ 1999년 | 오릭스 블루웨이브 | 일본 프로 야구 |
2000년 | SK 와이번스 | 한국 프로 야구 |
2001년 | 타바스코 캐틀멘 | 멕시칸 리그 |
2. 1. 메이저 리그 경력
1986년 MLB 드래프트 3라운드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었다. 1991년, 메이저 리그에 처음으로 승격되었다.1994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했지만 메이저 리그 경기는 뛰지 못했고, 1995년 콜로라도 로키스로 이적하여 메이저 리그에 복귀했다.[1]
2. 2. 일본 프로 야구 경력
1998년 오릭스 블루웨이브에 입단했다. 시즌 초반에는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중반부터 크게 성적을 끌어올렸다. 그 해 7월 7일 지바 롯데 마린스가 17연패를 기록한 경기(그린 스타디움 고베)에서 구로키 가즈히로 투수로부터 9회 2아웃 2스트라이크에서 극적인 동점 2점 홈런을 쳐냈고, 구로키는 마운드에서 주저앉았다. 경기 후 풀리엄은 "이것이 프로의 엄격함이다. 이것을 극복하면 그는 일류 투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참고로 롯데의 연패가 시작되기 전 6월 12일 경기에서 구로키는 완투 승리를 거두었지만, 풀리엄은 이 경기에서도 구로키로부터 홈런을 쳤다.[1]1998년에는 타율.285, 홈런 18개, 타점 62개를 기록했고, 1999년에는 타율 .280, 홈런 20개, 타점 85개를 기록했다. 홈런을 치는 선수이면서도 안정적인 성적을 기록했지만, 1999년 10월 25일에 로베르토 페레스, 마크 밈스와 함께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1]
2. 3. 한국 프로 야구 경력
2000년 시즌 중, 헨슬리 뮬렌스와 타이론 혼스가 부진으로 퇴출되자 빅토르 콜과 함께 SK 와이번스(현 SSG 랜더스)의 대체 선수로 입단했다.[1] 그 해 타율 .267, 16홈런, 55타점을 기록했다.2. 4. 멕시칸 리그 경력
2001년 멕시칸 리그의 타바스코 캐틀멘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1]3. 상세 정보
하비 풀리엄은 MLB, NPB, KBO에서 활동한 야구 선수이다. 캔자스시티 로열스, 콜로라도 로키스, 오릭스 버팔로스, SK 와이번스에서 뛰었다.
다음은 연도별 타격 성적이다.
연도 | 구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1년 | 캔자스시티 | 18 | 37 | 33 | 4 | 9 | 1 | 0 | 3 | 19 | 4 | 0 | 0 | 1 | 0 | 3 | 1 | 0 | 9 | 1 | .273 | .333 | .576 | .909 |
1992년 | 4 | 6 | 5 | 2 | 1 | 1 | 0 | 0 | 2 | 0 | 0 | 0 | 0 | 0 | 1 | 0 | 0 | 3 | 0 | .200 | .333 | .400 | .733 | |
1993년 | 27 | 65 | 62 | 7 | 16 | 5 | 0 | 1 | 24 | 6 | 0 | 0 | 0 | 0 | 2 | 0 | 1 | 14 | 3 | .258 | .292 | .387 | .679 | |
1995년 | 콜로라도 | 5 | 5 | 5 | 1 | 2 | 1 | 0 | 1 | 6 | 3 | 0 | 0 | 0 | 0 | 0 | 0 | 0 | 2 | 0 | .400 | .400 | 1.200 | 1.600 |
1996년 | 10 | 17 | 15 | 2 | 2 | 0 | 0 | 0 | 2 | 0 | 0 | 0 | 0 | 0 | 2 | 0 | 0 | 6 | 1 | .133 | .235 | .133 | .369 | |
1997년 | 59 | 72 | 67 | 15 | 19 | 3 | 0 | 3 | 31 | 9 | 0 | 1 | 0 | 0 | 5 | 0 | 0 | 15 | 2 | .284 | .333 | .463 | .796 | |
1998년 | 오릭스 | 92 | 377 | 326 | 38 | 93 | 16 | 0 | 18 | 163 | 62 | 1 | 0 | 0 | 5 | 39 | 0 | 7 | 52 | 13 | .285 | .369 | .500 | .869 |
1999년 | 122 | 502 | 446 | 59 | 125 | 21 | 0 | 20 | 206 | 85 | 0 | 2 | 0 | 1 | 50 | 3 | 5 | 85 | 14 | .280 | .359 | .462 | .820 | |
2000년 | SK | 91 | 326 | 288 | 46 | 77 | 13 | 1 | 16 | 140 | 55 | 2 | 2 | 0 | 4 | 27 | 1 | 7 | 55 | 11 | .267 | .340 | .486 | .827 |
MLB : 6년 | 123 | 202 | 187 | 31 | 49 | 11 | 0 | 8 | 84 | 22 | 0 | 1 | 1 | 0 | 13 | 1 | 1 | 49 | 7 | .262 | .313 | .449 | .763 | |
NPB : 2년 | 214 | 879 | 772 | 97 | 218 | 37 | 0 | 38 | 369 | 147 | 1 | 2 | 0 | 6 | 89 | 3 | 12 | 137 | 27 | .282 | .363 | .478 | .841 | |
KBO : 1년 | 91 | 326 | 288 | 46 | 77 | 13 | 1 | 16 | 140 | 55 | 2 | 2 | 0 | 4 | 27 | 1 | 7 | 55 | 11 | .267 | .340 | .486 | .827 |
일본 프로 야구에서의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1998년 4월 4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차전 (그린 스타디움 고베), 4번·지명 타자로 선발 출장
- 첫 안타: 같은 경기, 6회말 구도 기미야스로부터 좌전 안타
- 첫 홈런·첫 타점: 1998년 4월 7일, 긴테쓰 버팔로스 1차전 (그린 스타디움 고베), 7회말 고이케 히데오로부터 좌월 솔로
3. 1.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구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1년 | 캔자스시티 | 18 | 37 | 33 | 4 | 9 | 1 | 0 | 3 | 19 | 4 | 0 | 0 | 1 | 0 | 3 | 1 | 0 | 9 | 1 | .273 | .333 | .576 | .909 |
1992년 | 4 | 6 | 5 | 2 | 1 | 1 | 0 | 0 | 2 | 0 | 0 | 0 | 0 | 0 | 1 | 0 | 0 | 3 | 0 | .200 | .333 | .400 | .733 | |
1993년 | 27 | 65 | 62 | 7 | 16 | 5 | 0 | 1 | 24 | 6 | 0 | 0 | 0 | 0 | 2 | 0 | 1 | 14 | 3 | .258 | .292 | .387 | .679 | |
1995년 | 콜로라도 | 5 | 5 | 5 | 1 | 2 | 1 | 0 | 1 | 6 | 3 | 0 | 0 | 0 | 0 | 0 | 0 | 0 | 2 | 0 | .400 | .400 | 1.200 | 1.600 |
1996년 | 10 | 17 | 15 | 2 | 2 | 0 | 0 | 0 | 2 | 0 | 0 | 0 | 0 | 0 | 2 | 0 | 0 | 6 | 1 | .133 | .235 | .133 | .369 | |
1997년 | 59 | 72 | 67 | 15 | 19 | 3 | 0 | 3 | 31 | 9 | 0 | 1 | 0 | 0 | 5 | 0 | 0 | 15 | 2 | .284 | .333 | .463 | .796 | |
1998년 | 오릭스 | 92 | 377 | 326 | 38 | 93 | 16 | 0 | 18 | 163 | 62 | 1 | 0 | 0 | 5 | 39 | 0 | 7 | 52 | 13 | .285 | .369 | .500 | .869 |
1999년 | 122 | 502 | 446 | 59 | 125 | 21 | 0 | 20 | 206 | 85 | 0 | 2 | 0 | 1 | 50 | 3 | 5 | 85 | 14 | .280 | .359 | .462 | .820 | |
2000년 | SK | 91 | 326 | 288 | 46 | 77 | 13 | 1 | 16 | 140 | 55 | 2 | 2 | 0 | 4 | 27 | 1 | 7 | 55 | 11 | .267 | .340 | .486 | .827 |
MLB : 6년 | 123 | 202 | 187 | 31 | 49 | 11 | 0 | 8 | 84 | 22 | 0 | 1 | 1 | 0 | 13 | 1 | 1 | 49 | 7 | .262 | .313 | .449 | .763 | |
NPB : 2년 | 214 | 879 | 772 | 97 | 218 | 37 | 0 | 38 | 369 | 147 | 1 | 2 | 0 | 6 | 89 | 3 | 12 | 137 | 27 | .282 | .363 | .478 | .841 | |
KBO : 1년 | 91 | 326 | 288 | 46 | 77 | 13 | 1 | 16 | 140 | 55 | 2 | 2 | 0 | 4 | 27 | 1 | 7 | 55 | 11 | .267 | .340 | .486 | .827 |
3. 2. 기록 (일본 프로 야구)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1998년 4월 4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차전 (그린 스타디움 고베), 4번·지명 타자로 선발 출장
- 첫 안타: 1998년 4월 4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차전 (그린 스타디움 고베), 6회말 구도 기미야스로부터 좌전 안타
- 첫 홈런·첫 타점: 1998년 4월 7일, 긴테쓰 버팔로스 1차전 (그린 스타디움 고베), 7회말 고이케 히데오로부터 좌월 솔로
4. 출신 학교
매커티어 고등학교
5.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1991년 ~ 1992년 | 51 |
1993년 | 26 |
1995년, 1997년, 2000년 | 24 |
1996년 | 29 |
1998년 ~ 1999년 | 5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